2012년 AFC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2012년에 개최된 아시아 클럽 축구 대회이다. 서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의 클럽들이 참가하여, 출전권 배분은 2011년 대회를 기준으로 평가되었다. 조별 리그를 거쳐 16강 토너먼트가 진행되었으며, 결승전에서 울산 현대 축구단이 알 아흘리를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득점왕은 알자지라의 히카르두 올리베이라가 차지했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2010년 11월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2011년과 2012년 시즌의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 기준을 승인했다.[5][6] 2009년 11월 30일에는 기존 10개 협회 외에 참가를 희망하는 12개 협회를 추가로 발표했다.
2. 출전권 배정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 호주, 인도네시아가 참가했으며, 태국은 참가 신청을, 싱가포르는 철회, 베트남은 실격 처리되었다.[7][8] 서아시아 지역에서는 이란, 카타르, 사우디 아라비아, UAE, 우즈베키스탄이 참가했다.
2012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이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32개 팀이 조별 리그에 참가하여 4개 팀씩 8개 조(A~H조)로 나뉜다. A~D조는 서아시아, E~H조는 동아시아 지역으로 구성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우즈베키스탄 리그 1개 팀이 동아시아 지역에 배정되었다.[26] 각 조 상위 2개 팀은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하며, 16강전은 조별 리그 1위 팀 홈에서 단판 승부로 진행된다. 8강전과 준결승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결승전은 결승 진출 팀 중 한 팀의 홈 경기장에서 단판 승부로 열린다.[27] 우승 팀은 FIFA 클럽 월드컵 2012 출전 자격을 얻는다.
2. 1. 출전권 배분
2012년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권 배분은 2011년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진행된 AFC 챔피언스리그 기준 평가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9] 기준을 충족하는 국가와 일부 기준을 충족하는 국가, 기준 미달 국가로 분류되었다.
2012 ACL 평가 | |
---|---|
style="background: #90EE77;" width="20" | | 모든 기준 항목 충족 |
style="background: #ccffff" width="20" | | 일부 기준 항목 충족 |
style="background: #ccccff" width="20" | | 기준 미충족 |
;참고
- 우즈베키스탄에서 조별 리그에 직행하는 팀 중 한 팀이 동부 지역으로 이동했다.[9]
- 상주 상무 피닉스는 상업적 실체가 아니며 선수들이 프로 계약을 맺지 않아 ACL 진출 자격이 없다.[8]
- 2012년 ACL에 호주 클럽의 출전 자격을 부여한 시즌인 2010–11 A-리그에는 11개 팀이 있었지만, 현재 진행 중인 시즌인 2011–12 A-리그는 노스 퀸즐랜드 퓨리가 해체되어 10개 팀만 있으며, 이 숫자는 2012년 ACL 평가 보고서(8페이지)에 명시되었다.[10]
- 웰링턴 피닉스는 뉴질랜드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OFC 회원국이므로 ACL 진출 자격이 없다.[11]
- 인도네시아의 클럽 수는 2012년 ACL 평가 보고서(8페이지)에 명시되었다.[10]
- 2012년 ACL에 인도네시아 클럽의 출전 자격을 부여한 시즌인 2010–11 인도네시아 슈퍼리그에는 15개 팀이 있었고,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가 인정한 현재 진행 중인 최상위 리그인 2011–12 인도네시아 프리미어 리그에는 13개 팀이 있다. 인도네시아에는 인도네시아 프리미어 리그와 인도네시아 슈퍼리그 두 개의 경쟁적인 "최상위 리그"가 있는데, ISL은 당시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했다.
- 중국은 예선 플레이오프 출전권을 배정받았지만, 2011년 중국 슈퍼리그 3위인 랴오닝 훙윈이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12] 따라서 동부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에는 4개 팀만 참가했다.
3. 참가 팀
2012년 AFC 챔피언스리그에는 총 37개 팀이 참가했으며, 조별 리그 직행 팀과 플레이오프 참가 팀으로 나뉘었다.[10]
조별 리그 직행 팀 (서아시아 A–D조, 동아시아 E–H조) | |||
---|---|---|---|
팀 | 출전 자격 | 출전 횟수* | 마지막 출전 |
서아시아 | |||
레크위야 | 카타르 스타스 리그 2010-11 우승 | 1회 | 첫 출전 |
알라얀 | 카타르 아미르 컵 2011 우승 카타르 스타스 리그 2010-11 3위 | 4회 | 2011 |
알가라파 | 카타르 스타스 리그 2010-11 준우승 | 7회 | 2011 |
알아라비 | 카타르 스타스 리그 2010-11 4위 | 1회 | 첫 출전 |
알힐랄 | 사우디 프리미어리그 2010-11 우승 | 8회 | 2011 |
알아흘리 | 사우디 챔피언스컵 2011 우승 | 5회 | 2010 |
알이티하드 | 사우디 프리미어리그 2010-11 준우승 | 8회 | 2011 |
알자지라 | UAE 1부 리그 2010-11 우승 UAE 프레지던트컵 2010-11 우승 | 4회 | 2011 |
바니야스 | UAE 1부 리그 2010-11 준우승 | 1회 | 첫 출전 |
알나스르 | UAE 1부 리그 2010-11 3위 | 1회 | 첫 출전 |
파흐타코르 | 우즈베키스탄 컵 2011 우승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1 3위 | 10회 | 2011 |
나사프 카르시 |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1 준우승 | 1회 | 첫 출전 |
세파한 | 페르시안 걸프 컵 2010-11 우승 | 8회 | 2011 |
페르세폴리스 | 하즈피 컵 2010-11 우승 | 4회 | 2011 |
동아시아 | |||
가시와 레이솔 | J리그 디비전 1 2011 우승 | 1회 | 첫 출전 |
FC 도쿄 | 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 2011 우승 | 1회 | 첫 출전 |
나고야 그램퍼스 | J리그 디비전 1 2011 준우승 | 3회 | 2011 |
감바 오사카 | J리그 디비전 1 2011 3위 | 6회 | 2011 |
광저우 헝다 | 중국 슈퍼리그 2011 우승 | 1회 | 첫 출전 |
베이징 궈안 | 중국 슈퍼리그 2011 준우승 | 4회 | 2010 |
톈진 터다 | 중국 FA컵 2011 우승 | 3회 | 2011 |
브리즈번 로어 | A리그 2010-11 정규 시즌 우승 | 1회 | 첫 출전 |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 A리그 2010-11 정규 시즌 준우승 | 2회 | 2009 |
부리람 유나이티드 | 타이 프리미어리그 2011 우승 태국 FA컵 2011 우승 | 2회 | 2009 |
부뇨드코르* |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1 우승 | 5회 | 2011 |
플레이오프 참가 팀 | |||
---|---|---|---|
팀 | 출전 자격 | 출전 횟수 | 마지막 출전 |
서아시아 | |||
알이티파크 | 사우디 프리미어리그 2010-11 3위 | 2회 | 2009 |
알샤바브* | UAE 1부 리그 2010-11 4위 | 2회 | 2009 |
네프치 페르가나* |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1 4위 | 5회 | 2007 |
에스테글랄 | 페르시안 걸프 컵 2010-11 2위 | 5회 | 2011 |
조브 아한 | 페르시안 걸프 컵 2010-11 3위 | 4회 | 2011 |
동아시아 |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 A리그 2010-11 정규 시즌 3위 | 4회 | 2010 |
촌부리 FC* | 타이 프리미어리그 2011 2위 | 2회 | 2008 |
페르시푸라 자야푸라** | 인도네시아 슈퍼리그 2010-11 우승 | 2회 | 2010 |
- * 우즈베키스탄의 부뇨드코르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경기를 치르게 된다.
- ** 인도네시아의 페르시푸라 자야푸라는 AFC 챔피언스리그 참가 자격에 맞지 않아 실격 처리되었다가[44] 스포츠 중재 재판소의 판결 결과에 따라 참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추첨에 의해 조별 예선에 자동으로 진출할 예정이던 오스트레일리아의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는 인도네시아의 페르시푸라 자야푸라와 플레이오프를 갖게 된다. 다만,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대 페르시푸라 자야푸라 패자는 AFC컵 2012에 참가하지 못한다.
- *** 리그 상위팀들이 컵대회를 우승함에 따라 차순위 팀들이 진출하게 되었다.
- 중국 슈퍼리그 2011에서 3위를 기록한 랴오닝 훙윈은 조별 예선 추첨 이전에 기권했다.[45]
3. 1. 대한민국 참가 팀 (동아시아)
2012년 AFC 챔피언스리그에는 대한민국 4개 팀이 참가했다.팀 | 출전 자격 | 출전 횟수 | 마지막 출전 |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 2011 우승 | 6회 | 2011 |
울산 현대 | K리그 2011 준우승 | 3회 | 2009 |
성남 일화 천마 | FA컵 2011 우승 | 5회 | 2010 |
포항 스틸러스 | K리그 2011 3위 | 4회 | 2010 |
상주 상무는 AFC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할 수 없다.
4. 일정
2012년 AFC 챔피언스리그 대회의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46]
단계 | 라운드 | 추첨 일자 | 1차전 | 2차전 |
---|---|---|---|---|
플레이오프 | 1라운드 | 2011년 12월 6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47] | 2012년 2월 10일 | |
2라운드 | 2012년 2월 16일, 18일 | |||
조별 리그 | 1차전 | 2012년 3월 6일 ~ 7일 | ||
2차전 | 2012년 3월 20일 ~ 21일 | |||
3차전 | 2012년 4월 3일 ~ 4일 | |||
4차전 | 2012년 4월 17일 ~ 18일 | |||
5차전 | 2012년 5월 1일 ~ 2일 | |||
6차전 | 2012년 5월 15일 ~ 16일 | |||
결선 토너먼트 | 16강전 | 2012년 5월 22일 ~ 23일 (서아시아) 2012년 5월 29일 ~ 30일 (동아시아) | ||
8강전 | 2012년 6월 14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48] | 2012년 9월 19일 | 2012년 10월 2일 ~ 3일 | |
준결승전 | 2012년 10월 24일 | 2012년 10월 31일 | ||
결승전 | 2012년 11월 9일 또는 10일 (결승 진출팀 중 한 팀의 홈) |
5. 플레이오프
서아시아에서는 5팀, 동아시아에서는 4팀이 플레이오프에 참가했다.[1] 본래 동아시아에서는 3팀만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인도네시아의 페르시푸라 자야푸라가 다시 참가하게 되면서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는 페르시푸라 자야푸라와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1]
최종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4팀은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1] 서아시아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 패배한 2팀과 동아시아 플레이오프 중 포항 스틸러스 대 촌부리 FC 경기에서 패배한 팀은 AFC컵 2012 조별 리그에 참가했다.[1]
플레이오프 경기는 2012년 2월 11일, 16일, 18일에 개최되었다.[1]
1라운드 | ||
---|---|---|
에스테글랄 (이란) | 2 – 0 | 조브 아한 (이란) |
2라운드 | ||
알샤바브 (아랍에미리트) | 3 – 0 | 네프치 페르가나 (우즈베키스탄) |
에스테글랄 (이란) | 3 – 1 | 알이티파크 (사우디아라비아) |
최종 라운드 | ||
포항 스틸러스 (대한민국) | 2–0 | 촌부리 (태국)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오스트레일리아) | 3–0 | 페르시푸라 자야푸라 (인도네시아) |
6. 조별 리그
2011년 12월 6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조별 리그 조 추첨이 열렸다.[18] 같은 국가의 클럽은 같은 조에 속할 수 없다는 규정이 적용되었다. 각 조의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토너먼트 단계로 진출했다.[16]
총 32개 팀이 8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각 조별 1, 2위는 다음과 같다.
- A조: 알자지라 (아랍에미리트), 에스테글랄 (이란)[4]
- B조: 알 이티하드 (사우디아라비아), 바니야스 (아랍에미리트)
- C조: 알자지라 (아랍에미리트, 5승 1무), 에스테글랄 (이란, 3승 2무 1패). 알라얀(카타르)과 나사프 카르시(우즈베키스탄)은 탈락했다.
- H조: 광저우 헝다 (중국), 가시와 레이솔 (일본). 전북 현대 모터스(대한민국)는 탈락했다.
6. 1. A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الجزيرة|알자지라ar | 6 | 5 | 1 | 0 | 18 | 10 | +8 | 16 |
2 | استقلال|에스테글랄fa | 6 | 3 | 2 | 1 | 8 | 3 | +5 | 11 |
3 | 알라이얀 | 6 | 2 | 0 | 4 | 9 | 12 | -3 | 6 |
4 | 나사프 카르시 | 6 | 0 | 1 | 5 | 4 | 14 | -10 | 1 |
6. 2. B조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نادي الاتحاد السعودي|나디 알이티하드 앗수우디ar | 6 | 5 | 1 | 0 | 16 | 5 | +11 | 16 |
نادي بني ياس الرياضي|나디 바니야스 알리야디ar | 6 | 3 | 2 | 1 | 9 | 2 | +7 | 11 |
Paxtakor futbol klubi|파흐타코르 푸트볼 클루비uz | 6 | 2 | 1 | 3 | 6 | 10 | −4 | 7 |
النادي العربي الرياضي|알나디 알라비 알리야디ar | 6 | 0 | 0 | 6 | 4 | 18 | −14 | 0 |
B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알 이티하드와 아랍에미리트의 바니야스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하였다.
6. 3. C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알자지라 | 6 | 5 | 1 | 0 | 18 | 10 | 8 | 16 |
에스테글랄 | 6 | 3 | 2 | 1 | 8 | 3 | 5 | 11 |
알라얀 | 6 | 2 | 0 | 4 | 9 | 12 | -3 | 6 |
나사프 카르시 | 6 | 0 | 1 | 5 | 4 | 14 | -10 | 1 |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
알라얀 | | | 3 – 4 | 3 – 1 | 0 – 1 |
알자지라 | 3 – 2 | | | 4 – 1 | 1 – 1 |
나사프 카르시 | 0 – 1 | 2 – 4 | | | 0 – 2 |
에스테글랄 | 3 – 0 | 1 – 2 | 0 – 0 | | |
C조에서는 아랍에미리트의 알자지라가 5승 1무로 1위, 이란의 에스테글랄이 3승 2무 1패로 2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카타르의 알라얀은 2승 4패, 우즈베키스탄의 나사프 카르시는 1무 5패로 탈락했다.
6. 4. D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알이티하드 | 6 | 5 | 1 | 0 | 13 | 4 | 9 | 16 |
바니야스 | 6 | 3 | 2 | 1 | 9 | 2 | 7 | 11 |
파흐타코르 | 6 | 2 | 1 | 3 | 6 | 10 | -4 | 7 |
알아라비 | 6 | 0 | 0 | 6 | 4 | 16 | -12 | 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
알이티하드 | 3 – 2[1] | 1 – 0[2] | 4 – 0[3] | |
알아라비 | 1 – 3[4] | | | 0 – 4[5] | 0 – 1[6] |
바니야스 | 0 – 0[7] | 2 – 0[8] | | | 2 – 0[9] |
파흐타코르 | 1 – 2[10] | 3 – 1[11] | 1 – 1[12] | | |
6. 5. E조
width="50" | | width="50" | | width="50" | | width="50" | | |
---|---|---|---|---|
세파한 | | | [https://www.the-afc.com/en/acl2012-schedule-results?fixtureid=6134&stageid=232&tMode=H&view=ajax&show=matchsummary 2 – 1] | [https://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30&matchId=4565 2 – 1] | [https://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30&matchId=4570 1 – 0] |
알아흘리 | [https://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30&matchId=4567 1 – 1] | | | [https://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30&matchId=4561 3 – 0] | [https://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30&matchId=4564 3 – 1] |
레크위야 | [https://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30&matchId=4563 1 – 0] | [https://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30&matchId=4569 1 – 0] | | | [https://www.the-afc.com/en/acl2012-schedule-results?fixtureid=6135&stageid=232&tMode=H&view=ajax&show=matchsummary 1 – 2] |
알나스르 | [https://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30&matchId=4562 0 – 3] | [https://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30&matchId=4566 1 – 2] | [https://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30&matchId=4568 2 – 1] | | |
6. 6. F조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
베이징 궈안 | | | 1 – 1 | 2 – 3 | 1 – 1 |
울산 현대 | 2 – 1 | | | 2 – 2 | 1 – 1 |
FC 도쿄 | 3 – 0 | 1 – 2 | | | 4 – 2 |
브리즈번 로어 | 0 – 2 | 1 – 2 | 0 – 2 | | |
6. 7. G조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
감바 오사카 | | | 0 – 2 | 3 – 1 | 0 – 3 |
애들레이드 | 2 – 0 | | | 0 – 0 | 1 – 0 |
부뇨드코르 | 3 – 2 | 1 – 2 | | | 1 – 0 |
포항 스틸러스 | 2 – 0 | 1 – 0 | 0 – 2 | | |
수정내용:
1. 불필요한 템플릿 제거: ``, `` 제거
2. 외부 링크 수정: 외부 링크 주소에 `|` 와 함께 축약된 형태로 출력
6. 8. H조
H조에서는 중국의 광저우 헝다와 일본의 가시와 레이솔이 각각 승점 10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1, 2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의 전북 현대 모터스는 3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7. 결선 토너먼트
16강전은 조별 리그 1위 팀의 홈에서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고, 8강전과 준결승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결승전은 결승 진출팀 중 한 팀의 홈 경기장에서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다. 16강전에서는 원정 다득점 규칙이 적용되지 않았다. 서아시아 지역은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4차 예선 일정으로 인해 원래 일정보다 일주일 앞당겨져 2012년 5월 22일과 23일에 경기가 치러졌다. 동아시아 지역은 원래 일정대로 5월 29일과 30일에 경기가 진행되었다.[36][37][38]
7. 1. 16강전
16강전은 조별 리그에서 조 1위로 진출한 팀과 조 2위로 진출한 팀이 1위 팀의 홈에서 단판 승부로 열렸다.[36][37][38] 서아시아의 경우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4차 예선 일정으로 인해 원래 일정보다 일주일 앞당겨 2012년 5월 22일과 23일에 경기가 치러졌다. 동아시아는 원래 일정대로 5월 29일과 30일에 경기가 진행되었다. 16강전에서는 원정 다득점 규칙은 적용되지 않았다.팀 1 | 결과 | 팀 2 |
---|---|---|
서아시아 | ||
알자지라 | 3 – 3 (연장) 2 – 4 (PSO) | 알아흘리 |
세파한 | 2 – 0 | 에스테글랄 |
알이티하드 | 3 – 0 | 페르세폴리스 |
알힐랄 | 7 – 1 | 바니야스 |
동아시아 |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 1 – 0 | 나고야 그램퍼스 |
성남 일화 천마 | 0 – 1 | 부뇨드코르 |
울산 현대 | 3 – 2 | 가시와 레이솔 |
광저우 헝다 | 1 – 0 | FC 도쿄 |
결과적으로 서아시아에서는 알아흘리, 세파한, 알이티하드, 알힐랄이 8강에 진출했다. 동아시아에서는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부뇨드코르, 울산 현대, 광저우 헝다가 8강에 진출하였다.
7. 2. 8강전
8강전은 2012년 6월 14일 추첨을 통해 대진이 결정되었다.[39] 1차전은 2012년 9월 19일에, 2차전은 2012년 10월 2일과 3일에 개최되었다.[39]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알이티하드 | 5 – 4 | 광저우 헝다 | 4 – 2 | 1 – 2 |
세파한 | 1 – 4 | 알아흘리 | 0 – 0 | 1 – 4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 4 – 5 | 부뇨드코르 | 2 – 2 | 2 – 3 (연장) |
울산 현대 | 5 – 0 | 알힐랄 | 1 – 0 | 4 – 0 |
- 1차전
날짜 | 시간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경기장 | 관중 수 |
---|---|---|---|---|---|---|
2012년 9월 19일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 2 - 2 | 부뇨드코르 | 하인드마시 스타디움, 애들레이드 | 10,366명 | |
2012년 9월 19일 | 울산 현대 | 1 - 0 | 알 힐랄 | 울산 문수 축구경기장, 울산 | 5,955명 | |
2012년 9월 19일 | 세파한 | 0 - 0 | 알 아흘리 | 풀라드샤르 스타디움, 이스파한 | 9,280명 | |
2012년 9월 19일 | 알 이티하드 | 4 - 2 | 광저우 헝다 | 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잘 스타디움, 지다 | 15,971명 |
- 2차전
날짜 | 시간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경기장 | 관중 수 |
---|---|---|---|---|---|---|
2012년 10월 2일 | 광저우 헝다 | 2 - 1 | 알 이티하드 | 톈허 스포츠 센터, 광저우 | 39,997명 | |
2012년 10월 2일 | 알 아흘리 | 4 - 1 | 세파한 | 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살 스타디움, 지다 | 16,838명 | |
2012년 10월 3일 | 분요드코르 | 3 - 2 (연장)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 JAR 스타디움, 타슈켄트 | 7,212명 | |
2012년 10월 3일 | 알 힐랄 | 0 - 4 | 울산 현대 | 프린스 파이잘 빈 파흐드 스타디움, 리야드 | 19,753명 |
결과적으로 알이티하드, 알아흘리, 부뇨드코르, 울산 현대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7. 3. 준결승전
알아흘리ar와 울산 현대한국어가 결승에 진출하였다.[39][40]
2012년 10월 31일, 울산 현대는 울산 문수 축구경기장에서 열린 부뇨드코르와의 경기에서 김신욱과 이근호의 득점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했다.[39] 같은 날, 알 아흘리는 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잘 경기장에서 열린 알이티하드와의 경기에서 알 무사와 시몽스의 득점으로 2-0 승리를 거두었다.[40]
7. 4. 결승전
2012년 11월 10일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울산 현대가 알아흘리를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41][42] 곽태휘가 전반 13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하피냐가 후반 22분에 추가골을, 김승용이 후반 30분에 쐐기골을 넣었다.[41]김호곤한국어 감독이 이끄는 울산 현대는 4-4-2 포메이션으로 경기에 나섰다. 김용대가 골문을 지켰고, 이용, 강민수, 곽태휘, 김영삼이 수비진을 구성했다. 이호, 김승용, 후안 에스테반, 이근호가 미드필더로 출전했고, 김신욱과 하피냐가 최전방 공격을 맡았다. 고슬기, 이재성, 말라냥은 교체 투입되었다.[41]
울산 현대는 이번 우승으로 AFC 챔피언스리그 첫 우승을 달성했다.[41]
8. 우승
첫 번째 우승